162173 류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62173 류구는 1999년 발견된 탄소질 소행성으로,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탐사선 하야부사 2호의 탐사 대상이었다. 류구는 일본 민간 설화에 등장하는 해저 궁전 '류구'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으로 위험한 소행성으로 분류된다. 하야부사 2호는 2018년 류구에 도착하여 샘플을 채취, 2020년 지구로 귀환했으며, 샘플 분석 결과 생명 기원 연구에 중요한 유기물이 확인되었다. 류구는 파괴된 모천체의 파편이 재집적되어 형성된 라블파일 천체로 추정되며, 다이아몬드 모양의 독특한 형태와 지질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C형 소행성 - 253 마틸데
253 마틸데는 요한 팔리사가 발견한 C형 소행성으로, 어두운 표면, 특이한 내부 구조, 느린 자전 주기를 가지며 NEAR 슈메이커 우주선에 의해 크기와 질량이 정밀하게 측정되었다. - C형 소행성 - 10 히기에이아
10 히기에이아는 소행성대에서 네 번째로 큰 C형 소행성으로, 1849년 발견되어 그리스 신화의 건강의 여신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히기에이아족의 주요 구성원이자 허블 우주 망원경과 초대형 망원경을 통해 거의 구형임과 표면 크레이터 존재가 확인되었다. - 장소 이름이 붙은 소행성 - 704 인테람니아
704 인테람니아는 태양계에서 다섯 번째로 큰 소행성이자 가장 큰 F형 소행성으로, 초거대 망원경 관측 결과 지름 약 332km의 타원체 형태이며 표면에 수화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얼음 천체로 추정된다. - 장소 이름이 붙은 소행성 - 951 가스프라
951 가스프라는 S형 소행성으로, 갈릴레오 탐사선에 의해 근접 촬영되었으며, 감람석이 풍부하고, 72° 기울어진 자전축으로 약 3.29년 주기로 태양을 공전한다. - 1999년 발견한 천체 - TRAPPIST-1
TRAPPIST-1은 지구에서 40광년 떨어진 물병자리의 초저온 왜성으로, 7개의 지구 크기 행성으로 이루어진 행성계가 발견되었으며 일부 행성은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에 위치하여 행성들의 대기 및 생명체 존재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1999년 발견한 천체 - 101955 베누
101955 베누는 링컨 근지구 소행성 탐사에 의해 발견된 탄소질 근지구 소행성으로, 오시리스-렉스 탐사선의 목표 천체였으며 지구와 충돌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 위험 천체로 분류되어 연구가 진행 중이다.
162173 류구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162173 류구 (竜宮) |
가칭/별칭 | "" # 템플릿 제거 후 가칭/별칭 그대로 출력 |
명명 유래 | 류구 ("용궁") |
소행성 분류 | 아폴로 소행성 지구 근접 천체 잠재적 위협 천체 |
궤도 정보 | |
자료 출처 | "" # Ref 태그는 내용 그대로 출력 |
궤도 요소 기준일 | 2011년 12월 12일 (JD 2455907.5) |
불확실성 | 0 |
관측 호 | 30.32 yr (11,075일) |
원일점 거리 | 1.4159 AU |
근일점 거리 | 0.9633 AU |
궤도 장반축 | 1.1896 AU |
궤도 이심률 | 0.1902 |
공전 주기 | 1.30년 (474일) |
평균 궤도 운동 | " / 일" # 템플릿 제거 후 내용 그대로 출력 |
궤도 경사 | 5.8837° |
승교점 경도 | 251.62° |
근일점 인수 | 211.43° |
최소 궤도 교차 거리 | 0.0006 AU (0.2337 LD) |
물리적 특성 | |
크기 | "" # 템플릿 제거 후 내용 그대로 출력 |
평균 반지름 | "" # 템플릿 제거 후 내용 그대로 출력 |
적도 반지름 | "" # 템플릿 제거 후 내용 그대로 출력 |
극 반지름 | "" # 템플릿 제거 후 내용 그대로 출력 |
표면 중력 | 1/80,000 g |
자전 주기 | "" # 템플릿 제거 후 내용 그대로 출력 |
축 기울기 | "" # 템플릿 제거 후 내용 그대로 출력 |
북극 방향의 적경 | "" # 템플릿 제거 후 내용 그대로 출력 |
북극 방향의 적위 | "" # 템플릿 제거 후 내용 그대로 출력 |
부피 | "" # 템플릿 제거 후 내용 그대로 출력 |
밀도 | "" # 템플릿 제거 후 내용 그대로 출력 |
질량 | "" # 템플릿 제거 후 내용 그대로 출력 |
반사율 | "" # 템플릿 제거 후 내용 그대로 출력 "" # 템플릿 제거 후 내용 그대로 출력 "" # 템플릿 제거 후 내용 그대로 출력 "" # 템플릿 제거 후 내용 그대로 출력 "" # 템플릿 제거 후 내용 그대로 출력 "" # 템플릿 제거 후 내용 그대로 출력 |
스펙트럼 분류 | "SMASS CgCCb" # 템플릿 제거 후 내용 그대로 출력 |
절대 등급 | " " # 템플릿 제거 후 내용 그대로 출력 18.82 19.2 "" # 템플릿 제거 후 내용 그대로 출력 19.3 |
발견 정보 | |
발견 장소 | 링컨 연구소 ETS |
발견자 | LINEAR |
발견일 | 1999년 5월 10일 |
궤도 이미지 | |
![]() |
2. 발견 및 명칭
류구는 1999년 5월 10일 미국 뉴멕시코주 소코로 인근 MIT 링컨 연구소 실험 시험 장소(ETS)에서 링컨 근지구 소행성 연구(LINEAR) 프로젝트에 의해 발견되었다. 소행성체 센터에 정식 등록되기 전 임시 부호는 였다. JAXA는 2015년 10월 5일 소행성체 센터에 '류구'가 등재되었다고 발표하였다.[71]
2. 1. 임시 명칭
소행성체 센터에 정식 등록된 임시 부호는 로, 정식 명칭이 부여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1999'는 1999년, 'J'는 5월 전반, 'U3'은 95번째로 발견된 것을 나타낸다. 1999년 5월 10일에 링컨 연구소의 자동 관측 프로그램 LINEAR에 의해 발견되었다.2. 2. 류구 명칭
2015년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162173 류구의 명칭을 공모하였다.[71] 공모는 2015년 7월 22일부터 8월 31일까지 JAXA 특설 웹페이지 및 엽서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선정위원회 심사를 거쳐 '류구'라는 이름이 선정되었다. 이 이름은 발견자인 LINEAR 팀에 전달되었고, LINEAR 팀은 국제천문연맹(IAU)에 명칭을 제안하였다.[71]'류구'라는 이름은 일본 민간 설화에 등장하는 해저 궁전인 류구(龍宮)에서 유래했다. JAXA는 류구라는 명칭을 선정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 우라시마 타로 이야기에서 우라시마 타로가 거북이 등을 타고 용궁에서 보물을 가져온다는 이야기가 하야부사 2호가 소행성 샘플을 채취하여 캡슐에 담아 지구로 가져오는 것과 유사하다.
- 162173 류구에는 물을 포함한 암석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용궁은 물을 연상시키는 명칭이다.
- 기존 소행성 명칭과 유사하지 않고, 신화에서 유래한 명칭 중 여러 번 제안된 명칭이다.
- '류구'는 '신화에서 유래한 명칭이 바람직하다'는 국제천문연맹의 규칙에 부합하며, 제삼자의 상표권 등에서도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IAU의 소천체 명명위원회 심사는 보통 3개월 정도 걸리지만, 162173 류구의 경우 신속하게 심사가 이루어져 '류구'가 정식 명칭으로 인정되었다.[71]
3. 물리적 특징
하야부사 2호의 관측에 따르면 류구 표면은 매우 젊으며, 하야부사 2호가 폭발물을 사용하여 인공적으로 생성한 크레이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890만 ± 250만 년의 나이를 가지고 있다.[1][11]
류구의 표면은 다공성이며 먼지가 거의 또는 전혀 없다. MASCOT에 탑재된 복사계인 MARA를 이용한 측정 결과, 암석의 열전도율이 낮았다. 이는 암석 물질의 높은 다공성을 현장 측정한 것이다. 이 결과는 C형 소행성에서 유래한 대부분의 운석이 지구 대기 진입을 견디기에는 너무 약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2][13] MASCOT의 카메라(MASCam)가 촬영한 이미지에 따르면 류구의 표면에는 내부 결합력이 거의 없는 두 가지 종류의 거의 검은색 암석이 있지만, 먼지는 감지되지 않았다. 표면의 한 종류의 암석 물질은 매끄러운 표면과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지고 있으며 더 밝다. 다른 종류의 암석은 콜리플라워와 같은 부스러기 표면을 가진 어두운 암석이다. 어두운 종류의 암석은 작고 밝으며 스펙트럼적으로 다른 내포물을 가진 어두운 기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내포물은 CI 탄소질 콘드라이트와 유사해 보인다.[14][15] 예상치 못한 부수적인 효과로, 하야부사 2 추진기의 작동으로 인해 어둡고 미세한 입자 형태의 붉은색 물질이 코팅된 것으로 나타났다.[16]
3. 1. 구성 성분
탄소 함유량이 많은 탄소질 콘드라이트로 이루어진 탄소형 소행성이다.[71] 관측 결과 수분을 함유한 규산염의 존재도 확인되었다.[71] S형 소행성인 이토카와보다 태양계 형성 초기의 유기물과 함수 미네랄을 더 많이 포함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어 하야부사 2호의 목표 천체로 선정됐다.하야부사 2에 탑재된 근적외선 분광계(NIRS3)의 관측 결과, 류구 표면에는 함수 광물 형태의 물이 존재하며, 가열이나 충격을 받은 탄소질 운석과 유사한 조성을 보였다.
3. 2. 잠재적 위험성
지구 근접 천체 (NEO) 중에서도 특히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크고, 충돌 시 지구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잠재적으로 위험한 소행성 (Potentially Hazardous Asteroid, PHA)으로 분류되어 있다.3. 3. 모양과 크기
162173 류구는 거의 구형에 가까운 다이아몬드 모양 또는 팽이 모양을 하고 있으며, 지름은 약 0.85km~0.88km이다. 적도 부근에는 류진 도르섬이라고 불리는 능선이 존재한다.[10] 류구는 베누와 유사한 회전하는 팽이 모양의 소행성이다. 이 능선은 고속 자전 단계에서 강한 원심력에 의해 산사태 및/또는 내부 파괴를 통해 형성되었다.[10]2018년 6월, 하야부사 2호 우주선이 700km 거리에서 류구의 초기 이미지를 촬영하여 공개했다. 이 이미지들은 지름 약 1km인 다이아몬드 모양의 천체를 보여주었다. 이후 몇 달간의 탐사를 통해 JAXA 과학자들은 류구가 실제로는 부피의 약 50%가 빈 공간인 암석 덩어리로 결론 내렸다.[8] 류구의 밀도는 1.19 ± 0.03 g/cm3이다.[9]
"팽이형" 또는 "주판알형"으로 묘사되는 모양은, 과거 고속으로 자전했을 때 원심력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자전 주기는 7.6시간으로 느리지만, 자전 주기를 3.5시간으로 했을 때 현재와 같은 형태가 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모천체의 파편이 재집적될 때 이미 고속 자전하고 있었거나, 재집적 후에 YORP 효과에 의해 자전 속도가 빨라졌다는 두 가지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하야부사 2호의 관측 결과에 따르면, 류구는 파괴된 모천체의 파편이 재집적되어 형성된 라블파일 천체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여겨진다.
3. 4. 자전
류구는 역행 자전을 하며, 현재 자전 주기는 약 7.6시간이다. 과거에는 3.5시간 주기로 더 빠르게 자전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로 인해 현재와 같은 "팽이형" 또는 "주판알형" 모양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형태는 고속 자전 단계에서 강한 원심력에 의해 산사태 및/또는 내부 파괴를 통해 형성된 적도 능선인 류진 도르숨을 특징으로 한다. 류구는 베누와 유사한 회전하는 팽이 모양의 소행성이다.모천체의 파편이 재집적될 때 이미 고속 자전하고 있었거나, 재집적 후에 YORP 효과에 의해 자전 속도가 빨라졌다는 두 가지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4. 지질학적 특징 및 형성 과정
류구는 소행성족의 일부로 형성되었으며, 모천체의 대규모 파괴 이후 빠른 자전에 의해 표면 일부가 재형성되어 적도 능선(류진 도르섬)이 만들어졌다. 이는 내부 파괴 및/또는 질량 낭비 과정을 거쳤으며, 지질학적으로 뚜렷한 서쪽 지역('서쪽 융기')은 비대칭적인 내부 파괴의 결과로 추정된다.[10] 류구는 멸종 혜성으로 추정된다.[5]
하야부사 2호가 촬영한 --의 이미지를 보면, "팽이형" 또는 "주판알형"으로 묘사되는 독특한 모양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모양은 과거 고속 자전 시 원심력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는 자전 주기가 7.6시간으로 느리지만, 과거 3.5시간 주기로 자전했을 때 현재와 같은 형태가 만들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모천체의 파편이 재집적될 당시 이미 고속으로 자전하고 있었거나, 재집적 이후 YORP 효과에 의해 자전 속도가 빨라졌다는 두 가지 가설이 제시되고 있다.
4. 1. 소행성족
류구는 소행성족의 일부로 형성되었으며, 율랄리아 또는 폴라나에 속한다.[4] 이들 소행성족은 과거 소행성 충돌의 파편일 가능성이 높다. 표면에 많은 수의 바위가 있다는 점은 모천체가 대규모 파괴를 겪었음을 뒷받침한다.[20] 류구의 모천체는 내부 가열로 인해 탈수 현상을 겪었을 가능성이 있으며,[4] 강한 자기장이 없는 환경에서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48]4. 2. 모천체
류구는 소행성족의 일부로 형성되었으며, 폴라나 또는 율랄리아에 속한다.[4] 이들 소행성족은 과거 소행성 충돌의 파편일 가능성이 높다. 표면의 많은 수의 바위는 모천체의 대규모 파괴를 뒷받침한다.[20] 류구의 모천체는 내부 가열로 인해 탈수를 겪었을 가능성이 있으며,[4] 강한 자기장이 없는 환경에서 형성되었음에 틀림없다.[48] 하야부사 2호의 관측 결과에 따르면, 파괴된 모천체의 파편이 재집적되어 형성된 라블파일 천체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여겨진다. 모천체는 45억 6천만 년 전에 형성된 폴라나 또는 오일라리아로 추정되며,[65] 14억 년 전에 폴라나가, 또는 8억 년 전에 오일라리아가 다른 천체와 충돌하여 파괴되었고, 그 충돌 파편이 재집적되어 현재의 류구가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4. 3. 형성 과정
율랄리아 또는 폴라나에 속하는 소행성족의 일부로 형성되었다.[4] 이 소행성족들은 과거 소행성 충돌의 파편일 가능성이 높으며, 표면에 많은 수의 바위는 모천체의 대규모 파괴를 뒷받침한다.[20] 류구의 모천체는 내부 가열로 인해 탈수를 겪었을 가능성이 있으며,[4] 강한 자기장이 없는 환경에서 형성되었음에 틀림없다.[48] 대규모 파괴 이후, 소행성의 빠른 자전에 의해 표면의 일부가 다시 형성되어 적도 능선(류진 도르섬)을 형성했으며, 이는 내부 파괴 및/또는 질량 낭비 과정을 거쳤다. 지질학적으로 뚜렷한 서쪽 지역('서쪽 융기')은 비대칭적인 내부 파괴의 결과일 것이다.[10]하야부사 2호의 관측 결과에 따르면, 파괴된 모천체의 파편이 재집적되어 형성된 라블파일 천체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여겨진다. 모천체는 45억 6천만 년 전에 형성된 폴라나 또는 오일라리아로 추정되며,[65] 14억 년 전에 폴라나, 또는 8억 년 전에 오일라리아가 다른 천체와 충돌하여 파괴되었고, 그 충돌 파편이 재집적되어 현재의 류구가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팽이형" 또는 "주판알형"으로 묘사되는 모양은, 한때 고속 자전했을 때 원심력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자전 주기는 7.6시간으로 느리지만, 자전 주기를 3.5시간으로 했을 때 현재와 같은 형태가 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모천체의 파편이 재집적될 때 이미 고속 자전하고 있었거나, 재집적 후에 YORP 효과에 의해 자전 속도가 빨라졌다는 두 가지 가능성이 생각되고 있다.
4. 4. 표면 특징
하야부사 2의 관측에 따르면 류구 표면은 매우 젊으며, 하야부사 2가 폭발물을 사용하여 인공적으로 생성한 크레이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년의 나이를 가지고 있다.[1][11]류구의 표면은 다공성이며 먼지가 거의 없다. MASCOT에 탑재된 복사계인 MARA를 이용한 측정 결과, 암석의 열전도율이 낮았다. 이는 암석 물질의 높은 다공성을 현장 측정한 것이다. 이 결과는 C형 소행성에서 유래한 대부분의 운석이 지구 대기 진입을 견디기에는 너무 약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2][13] MASCOT의 카메라(MASCam)가 촬영한 이미지에 따르면 류구의 표면에는 내부 결합력이 거의 없는 두 가지 종류의 거의 검은색 암석이 있지만, 먼지는 감지되지 않았다. 표면의 한 종류의 암석 물질은 매끄러운 표면과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지고 있으며 더 밝다. 다른 종류의 암석은 콜리플라워와 같은 부스러기 표면을 가진 어두운 암석이다. 어두운 종류의 암석은 작고 밝으며 스펙트럼적으로 다른 내포물을 가진 어두운 기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내포물은 CI 탄소질 콘드라이트와 유사해 보인다.[14][15] 예상치 못한 부수적인 효과로, 하야부사 2 추진기의 작동으로 인해 어둡고 미세한 입자 형태의 붉은색 물질이 코팅된 것으로 나타났다.[16]
5. 표면 지형
국제천문연맹(IAU)은 류구 표면의 13개 지형에 공식 명칭을 부여했다. 이 지형들의 명칭은 "어린이들을 위한 이야기"와 관련되어 있다.[49][50]
2018년 10월,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국제천문연맹에 류구 표면 지형 명칭 안을 신청했고, 같은 해 12월에 "오토히메 (암석)", "에지마 (암석)", "류진 (능선)", "모모타로 크레이터", "키비단고 크레이터" 등 "어린이들을 위한 이야기"와 관련된 13곳의 명칭이 승인되었다.
하야부사 2호가 샘플 채취 과정에서 만든 지름 약 10미터의 인공 크레이터는 "주먹밥 굴러가네 크레이터"라는 애칭이 붙었다. 그 주변의 암석들에는 작고한 연구원들의 이름을 따서 "이이지마 암석", "오카모토 암석"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66][67]
"주먹밥 굴러가네 크레이터"는 2019 유캔 신어·유행어 대상에 후보로 올랐으며, 야쿠 미츠루는 "하야부사 2의 화제는 위업으로 칭송받았지만, 그 후의 말이 정착되지 않았다. 여기에 넣음으로써, 그런 말도 있었네라고 인지시키는 효과도 있는 것입니다"라고 추천 이유를 밝혔다.[69]
5. 1. 크레이터
류구는 표면에 77개의 충돌구를 가지고 있다. 류구는 충돌구 형성에 대한 무작위성으로 설명할 수 없는 충돌구 밀도의 변화를 보인다. 저위도에는 더 많은 충돌구가 있고 고위도에는 더 적으며, 서부 팽창부(160°E – 290°E)에는 자오선 주변 지역(300°E – 30°E)보다 더 적은 충돌구가 있다. 이러한 변화는 류구의 복잡한 지질학적 역사의 증거로 여겨진다.[17] 표면에는 하야부사 2호가 배치한 소형 충돌체(SCI)에 의해 의도적으로 형성된 인공 충돌구가 하나 있다.[18]2019년 8월 기준으로 국제천문연맹(IAU)에 의해 명명된 류구 표면의 지형 특징은 13개이다.[49][50] 류구의 지형 특징은 "어린이 이야기"를 주제로 한다.
'''키비단고'''를 제외한 류구의 크레이터 이름은 모두 동화 속 등장인물에서 유래되었다.
지명 | 유래 |
---|---|
브라보(Brabo) | 실비우스 브라보 |
상드리용(Cendrillon) | 상드리용 |
키비단고(Kibidango) | 키비단고 |
킨타로(Kintaro) | 킨타로 |
콜로보크(Kolobok) | 콜로보크 |
모모타로(Momotaro) | 모모타로 |
우라시마(Urashima) | 우라시마 타로 |
5. 2. 능선
류진 능선은 용신에서 유래하였다.[49][50]지명 | 유래 |
---|---|
류진 능선 (Ryujin Dorsum) | 용신 |
5. 3. 지구대
류구의 지구대 명칭은 신화 속 이상향에서 유래했다.[49][50]지명 | 유래 |
---|---|
호라이 지구대(Horai Fossa) | 봉래산 |
토코요 지구대(Tokoyo Fossa) | 상세국 |
5. 4. 암괴
류구의 암괴 이름은 대부분 우라시마 타로에서 유래했다.지명 | 유래 |
---|---|
카타포 암괴 (Catafo Saxum) | 카타포 |
에지마 암괴 (Ejima Saxum) | 에지마가 이소 |
오토히메 암괴 (Otohime Saxum) | 오토히메 |
6. 탐사
일본 항공 우주 탐사 기관(JAXA)의 소행성 탐사 프로젝트 하야부사 2호는 류구를 탐사 대상으로 하였다. 하야부사 2호는 2018년 6월에 류구에 도착하여[72] 1년 반 동안 탐사한 후 샘플을 채취하고 2019년 11월에 류구를 떠났다.[73][74] 2020년 12월 5일에는 샘플을 가지고 지구로 귀환했다.[74]
6. 1. 하야부사 2호
일본 항공 우주 탐사 기관(JAXA)이 실시한 소행성 탐사 프로젝트 하야부사 2호는 162173 류구를 목표 천체로 하였다.[72] 하야부사 2호는 2014년 12월에 발사되어 2018년 6월 27일에 류구 근처에 도착했다. 1년 반 동안 탐사 후 샘플을 채취하고 2019년 11월에 류구를 출발했다.[73][74] 2020년 12월 5일, 하야부사 2호는 샘플을 가지고 지구로 귀환했는데,[74] 샘플에서는 RNA와 비타민 B3의 성분인 우라실과 같은 유기물이 확인되었다.
''하야부사2'' 임무에는 HIBOU(로버-1A), OWL(로버-1B), MASCOT, 로버-2(MINERVA-II-2)로 명명된 4대의 로버가 포함되었고, 다양한 과학 장비가 탑재되었다. 2018년 9월 21일, 처음 두 대의 로버인 HIBOU와 OWL(MINERVA-II-1 로버)이 ''하야부사2''에서 방출되어 소행성 표면을 돌아다녔다. 이는 빠르게 움직이는 소행성체에 성공적으로 착륙한 최초의 임무이다.
2018년 10월 3일, 독일-프랑스 이동식 소행성 표면 정찰기(MASCOT) 착륙선이 MINERVA 로버가 착륙한 지 열흘 만에 류구에 성공적으로 도착했다. 착륙선은 16시간의 배터리 전원만 가지고 있었고 재충전할 방법이 없어 계획대로 임무는 짧게 끝났다.
''하야부사2''는 2019년 2월 22일에 류구에 잠시 착륙하여, 작은 탄탈 발사체를 표면에 발사하여 샘플링 혼 내부의 표면 파편 구름을 수집한 다음, 다시 대기 위치로 이동했다.[53] 두 번째 샘플링은 표면 아래에서 이루어졌으며, 깨끗한 물질을 노출시키기 위해 500미터 상공에서 큰 구리 발사체를 발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몇 주 후인 2019년 7월 11일에는 샘플러 혼과 탄탈 발사체를 사용하여 표면 아래 물질을 샘플링하기 위해 착륙했다.[54]

마지막 로버인 로버-2 또는 MINERVA-II-2는 ''하야부사2'' 궤도선에서 방출되기 전에 고장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9년 10월 2일에 류구 주변 궤도에 배치되어 중력 측정을 수행했다. 방출 후 며칠 만에 소행성에 충돌했다.
2019년 11월 13일, ''하야부사2''에 류구를 떠나 지구로 돌아가는 여정을 시작하라는 명령이 전송되었다.[3] 2020년 12월 6일(호주 시간)에는 샘플이 담긴 캡슐이 호주에 착륙했고, 짧은 수색 끝에 회수되었다.[56][57]
샘플 캡슐 반환 전 예상 샘플량은 최소 0.1g이었다.[58] 실제 회수된 샘플량은 약 5.4g으로 예상보다 50배나 많았다.
회수된 샘플 할당은 다음과 같다.
할당 대상 | 비율 (wt%) |
---|---|
JAXA 상세 분석 | 2 |
초기 분석 | 6 |
일본 연구 그룹의 "2단계" 분석 | 4 |
NASA | 10 |
국제 "2단계" 연구 그룹 | 2 |
대국민 홍보 | 1 |
국제 공모 발표 | 15 |
향후 분석을 위해 보존 | 60 |
6. 2. 샘플 분석
일본 항공 우주 탐사 기관(JAXA)의 소행성 탐사 프로젝트 하야부사 2호가 탐사 후 채취하여 지구로 가져온 류구 샘플에 대한 초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21][22]- 1000 °C 이상의 고온에서 형성된 입자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태양이 가까운 곳에서 형성되어 이후 외태양계로 이동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칼로 자를 수 있을 정도로 부드러우며, 하드 디스크처럼 자기장을 보존하고 있다.
- 류구의 모체는 태양계의 형성 이후 2백만 년 만에 축적되었으며, 이후 3백만 년 동안 50 °C까지 가열되어 암석 물질과 물이 반응하였다. 이 과정에서 무수 규산염은 수화 규산염이 되었고, 철은 자철광이 되었다. 이후 100 km 크기의 모체는 10 km 미만의 충돌체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충돌 속도는 약 5 km/s였다. 류구는 충돌 지점에서 멀리 떨어진 물질에서 형성되었다.
- 미세 입자 광물과 유기물의 중수소와 질소-15의 동위원소 조성을 통해 류구의 모체가 외태양계에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23] 티타늄, 크롬, 몰리브덴 동위원소의 이상 현상은 류구의 기원이 외태양계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24]
- 샘플에 보존된 자성을 바탕으로 류구의 모체가 성운 가스의 어두운 곳에서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다.[22]
- 나노SIMS 기반 분석을 통해 카네기 연구소는 류구 샘플에 태양계보다 오래된 입자가 포함되어 있음을 발견했다. 이들 태양 이전 입자의 풍부도와 조성은 CI 콘드라이트의 태양 이전 입자와 유사했다.[46]
- J-PARC의 입자 가속기를 사용한 연구자들은 뮤온 빔을 사용하여 샘플의 화학 조성을 분석했는데, CI 콘드라이트와 유사한 조성을 발견했지만, 류구 샘플의 산소는 규소에 비해 25% 더 적었다. 운석의 산소 과잉은 지구 대기 진입 후 오염에서 비롯될 수 있다.[47]
- RNA와 비타민 B3의 성분인 우라실과 같은 유기물의 존재가 확인되었다.[74]
참조
[1]
서적
82nd Annual Meeting of The Meteoritical Society, held 7-12 July, 2019 in Sapporo, Japan
2019-07
[2]
뉴스
The Asteroid Was Shooting Rocks Into Space. 'Were We Safe in Orbi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9-03-19
[3]
웹사이트
Japanese sample return craft departs asteroid, heads for Earth
https://spaceflightn[...]
2019-11-13
[4]
간행물
The Evolution of Ryugu's Parent Body Constrained by Hayabusa2 Imaging Observations
2019-03
[5]
간행물
The Asteroid 162173 Ryugu: a Cometary Origin
2022
[6]
간행물
The geomorphology, color, and thermal properties of Ryugu: Implications for parent-body processes
2019-03-19
[7]
뉴스
Queen's Brian May Will Rock You with This Stereo Image of Asteroid Ryugu
https://www.space.co[...]
Space.com
2018-07-10
[8]
뉴스
Hayabusa-2: Asteroid mission exploring a 'rubble pile'.
https://www.bbc.com/[...]
BBC News
2019-03-19
[9]
간행물
Hayabusa2 arrives at the carbonaceous asteroid 162173 Ryugu—A spinning top–shaped rubble pile
2019-04
[10]
간행물
The Western Bulge of 162173 Ryugu Formed as a Result of a Rotationally Driven Deformation Process
2019-03
[11]
간행물
An artificial impact on the asteroid 162173 Ryugu formed a crater in the gravity-dominated regime
https://www.science.[...]
2020-03-19
[12]
웹사이트
DLR – MASCOT confirms what scientists have long suspected
https://www.dlr.de/c[...]
[13]
간행물
Low thermal conductivity boulder with high porosity identified on C-type asteroid (162173) Ryugu
2019-07-15
[14]
간행물
Images from the surface of asteroid Ryugu show rocks similar to carbonaceous chondrite meteorites
https://hal.archives[...]
2019-08-23
[15]
웹사이트
The near-Earth asteroid Ryugu – a fragile cosmic rubble pile
https://www.dlr.de/c[...]
[16]
웹사이트
Hayabusa-2 Reveals Surface of Near-Earth Asteroid Ryugu in Stunning Detail
http://www.sci-news.[...]
2020-05-11
[17]
간행물
The spatial distribution of impact craters on Ryugu
2020-03
[18]
웹사이트
Apr. 24, 2019. What's new
http://www.hayabusa2[...]
[19]
웹사이트
Asteroid explorer, Hayabusa2, reporter briefing
http://www.hayabusa2[...]
2019-06-25
[20]
간행물
Boulder size and shape distributions on asteroid Ryugu
2019-10
[21]
웹사이트
JAXA {{!}} Asteroid Explorer Hayabusa2 Initial Analysis Chemical Analysis Team reveals aqueous alteration and primitive composition of asteroid Ryugu
https://global.jaxa.[...]
2022-09-28
[22]
웹사이트
JAXA {{!}} Asteroid Explorer Hayabusa2 Initial Analysis Stone Team reveals the formation and evolution of carbonaceous asteroid Ryugu.
https://global.jaxa.[...]
2022-09-28
[23]
웹사이트
JAXA {{!}} Asteroid Ryugu is a drifter from the outer Solar System: Results from the Hayabusa2 Phase-2 Curation Kochi Team published in Nature Astronomy
https://global.jaxa.[...]
2022-09-28
[24]
간행물
Ryugu's nucleosynthetic heritage from the outskirts of the Solar System Science Advances (2022): eadd8141.
2022
[25]
간행물
Hayabusa-returned sample curation in the Planetary Material Sample Curation Facility of JAXA
2014
[26]
문서
Readiness of Receiving and Curation facility for Hayabusa2 Asteroid Sample Return Mission
https://curation.isa[...]
2017
[27]
문서
Can SIMS measurements constrain the D/H ratio of water on Ryugu?
2022
[28]
문서
H isotopic composition of water in Ryugu samples returned by the Hayabusa2 mission
2022
[29]
문서
Water in Asteroid Ryugu is Deuterium-Rich Compared to Earth and CI Chondrites
2023
[30]
문서
Nano-Scale Infrared and Raman Spectroscopy of Ryugu Particles
2023
[31]
간행물
Samples returned from the asteroid Ryugu are similar to Ivuna-type carbonaceous meteorites
https://hal.science/[...]
2023
[32]
문서
Ryugu's volatiles investigated using stepped combustion and EGA methods
2023
[33]
간행물
A dehydrated space-weathered skin cloaking the hydrated interior of Ryugu
2022-12-19
[34]
문서
Hayabusa2 and Sample Science – JAXA
2023-07-12
[35]
문서
CRISPY On The OUTSIDE, RAW On The INSIDE: IMPACT-INDUCED MELTING And FRAGMENTATION Of C-Type ASTEROID Regolith DocumentedIn A Ryugu Sample
2023-08-11
[36]
간행물
Direct Measurement of the Composition of Aqueous Fluids from the Parent Body of Asteroid 162173 Ryugu
2022
[37]
간행물
Early History of Ryugu's Parent Asteroid: Evidence from Return Sample
2022
[38]
웹사이트
Team identifies parent body materials in Ryugu asteroid
https://www.llnl.gov[...]
2022-09-28
[39]
논문
First asteroid gas sample delivered by the Hayabusa2 mission: a treasure box from Ryugu
2022-10-20
[40]
논문
Noble gases and nitrogen in samples of asteroid Ryugu record its volatile sources and recent surface evolution
https://hal.science/[...]
2023
[41]
간행물
Recently Recovered Pristine Extraterrestrial Materials As Carriers of Primordially Trapped Noble Gases
2023-08-11
[42]
간행물
Extremely High Xe Concentration in The Hayabusa2 C0209 Sample
2023
[43]
뉴스
"'Rubber-ducky' asteroid 200 million miles away holds building blocks of life"
https://www.livescie[...]
LiveScience
2022-06-09
[44]
웹사이트
RNA compound and vitamin B3 found in samples from near-Earth asteroid
https://edition.cnn.[...]
CNN
2023-03-22
[45]
논문
Uracil in the carbonaceous asteroid (162173) Ryugu
2023-03-21
[46]
논문
Presolar Stardust in Asteroid Ryugu
2022-08-01
[47]
웹사이트
Researchers have used beams of muons to analyze the elemental composition of Asteroid Ryugu samples
https://www.ipmu.jp/[...]
2022-09-28
[48]
논문
Magnetic Properties of Asteroid (162173) Ryugu
2020
[49]
간행물
Hayabusa2 team sets date for sample collection, considers two touchdown sites
http://www.planetary[...]
Planetary.org
2019-01-16
[50]
웹사이트
Jan. 21, 2019. What's new
http://www.hayabusa2[...]
[51]
웹사이트
Jan. 21, 2019. What's new
http://www.hayabusa2[...]
2019-09-07
[52]
웹사이트
July 8, 2019. What's new
http://www.hayabusa2[...]
2019-09-07
[53]
뉴스
Touchdown: Japan probe Hayabusa2 lands on distant asteroid.
https://phys.org/new[...]
PhysOrg
2019-02-22
[54]
뉴스
Hayabusa2 successfully collects 1st-ever subsurface samples: JAXA
https://english.kyod[...]
2019-07-15
[55]
논문
Preliminary analysis of the Hayabusa2 samples returned from C-type asteroid Ryugu
[56]
뉴스
Japan's Journey to an Asteroid Ends With a Hunt in Australia's Outback – The Hayabusa2 mission cements Japan's role in exploring the solar system, but finding its asteroid cargo presents one last challenge.
https://www.nytimes.[...]
2020-12-05
[57]
뉴스
Hayabusa-2: Capsule with asteroid samples in 'perfect' shape
https://www.bbc.com/[...]
BBC News
2020-12-06
[58]
웹사이트
Hayabusa2 Project
https://curation.isa[...]
Astromaterials Science Research Group, Extraterrestrial Sample Curation Center, JAXA
2020-12-10
[59]
논문
[60]
웹사이트
https://fanfun.jaxa.[...]
JAXA
2020-12-10
[61]
웹사이트
Asteroid explorer, Hayabusa2, reporter briefing
http://www.hayabusa2[...]
JAXA
2020-12-10
[62]
웹사이트
https://news.mynavi.[...]
TECH+
2021-06-20
[63]
웹사이트
https://www.hayabusa[...]
JAXA
2021-06-20
[64]
웹사이트
運用中小惑星探査機「はやぶさ2」
https://www.isas.jax[...]
JAXA
2019-03-12
[65]
웹사이트
リュウグウの表面地形、多色画像、熱物性から探る母天体の進化
https://www.isas.jax[...]
2020-06-22
[66]
웹사이트
人工クレーター「おむすびころりん」と命名 はやぶさ2
https://www.sankei.c[...]
2019-11-16
[67]
웹사이트
はやぶさ2の偉業 解説 輪島・町野小 開発携わった工学博士が講演
https://web.archive.[...]
2019-11-15
[68]
웹사이트
2019流行語大賞「タピる」「命を守る行動を」など30語のノミネートが決定
https://www.fnn.jp/a[...]
2019-11-06
[69]
웹사이트
新語・流行語候補に「おむすびころりんクレーター」やくみつる氏が推挙
https://news.livedoo[...]
2019-11-09
[70]
문서
「特別企画『帰還一周年 「はやぶさ2」カプセル&リュウグウの“かけら” 大公開』」
https://www.miraikan[...]
日本科学未来館
2021-12-11
[71]
문서
류구 (일본)
[72]
뉴스
Japanese spacecraft reaches asteroid after three-and-a-half-year journey
https://spaceflightn[...]
2018-07-02
[73]
웹인용
Japanese sample return craft departs asteroid, heads for Earth
https://spaceflightn[...]
2019-11-13
[74]
뉴스
Japan's Journey to an Asteroid Ends With a Hunt in Australia's Outback – The Hayabusa2 mission cements Japan's role in exploring the solar system, but finding its asteroid cargo presents one last challenge.
https://www.nytimes.[...]
2020-1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